카테고리 없음

게으름을 이기는 자기관리 방법 - 지식인사이드

changminai 님의 블로그 2025. 7. 5. 18:56



🧠 김경일 교수 인터뷰 요약: 과학적 자기관리와 몰입의 기술

1. 최고의 뇌 사용 시간은 따로 있다
• 아침에 일어난 직후 1.5~2시간은 뇌의 ‘골든 타임’.
• 사고력·결정력·기획력이 최고조에 달하며, 이 시기를 낭비하면 하루 전체 생산성이 떨어짐.
• 루틴한 반복 업무는 오후로 넘기는 것이 더 효율적.

❗오전은 “생각을 많이 해야 하는 일”, 오후는 **“생각 없이도 할 수 있는 일”**에 배치하자.



2. 게으름? 실은 ‘트리거 부족’이다
• “책상 앞에 앉는 게 9만 리”처럼 시작 자체가 어렵다.
• 작은 동작으로 뇌를 속이는 방법:
• 책만 펴자
• 리모컨만 집자
• 연필만 올려놓자

🧩 시작을 위한 최소 행동부터 생각하자. 이것이 ‘자기 행동의 증검다리’다.



3. 루틴은 의지력을 절약하는 기술
• 생산적인 사람들의 공통점:
• 자신이 어떤 장소·시간·행동 조합에서 가장 몰입되는지를 안다.
• 예시:
• “KTX에서 이메일 답장 잘됨”
• “일요일 밤에 칼럼이 술술 써짐”

📒 스스로의 행동 패턴을 기록해 데이터화하면, 의지를 들이지 않아도 몰입 가능.



4. 나는 아침형? 저녁형? ‘시간형 인간’ 자가 진단법
• 사람마다 두뇌 능력이 극대화되는 시간대가 다르다.
• 아침형 인간: 오전 8~10시 집중력 최고
• 저녁형 인간: 오후 4~저녁 시간 집중력 최고
• 자기 상태에 따른 점수 매기기 추천:
• 하루의 말·행동·기분을 10점 척도나 ABC 등급으로 평가
• 수면 시간과 연결해 기록하면 자기 두뇌의 최적 시간대를 발견할 수 있음



5. 계획 vs 목표 – 왜 실행이 안 되는가
• “7월에 토익 900점”은 목표, **계획은 ‘7월 2일 오전 10시~11시 LC 실전문제’**다.
• 계획은 적어도 14분할, 이상적으론 21분할 이상으로 쪼개야 한다.
• 게임처럼 작은 단위 성취 → 성장감 → 몰입

📈 A4보다 원고지가 빠른 이유?
첫 페이지가 쉽게 끝나고, 진도감이 보이기 때문



6. 동사형 인생 계획의 힘
• 미래를 “명사”로 설정하면 실패시 대안이 없음.
• ❌ “나는 교수가 될 거야”
• ✅ “나는 사람을 가르치는 사람이 될 거야”
• “동사형 목표”는 변화에도 유연하고, 자존감도 유지됨.

🎯 직업이 아니라, 내가 하는 행위에 적성을 둬야 한다



7. 일에 지친 사람들 – 해결은 ‘직무 변경’부터
• 직장인은 일이 재미있을 수 없다. 뇌는 원래 노동·공부·연습을 싫어한다.
• 재미는 몰입의 부산물. 그 몰입을 만드는 것이 ‘게임화’ 구조.
• 작게 쪼갠 목표
• 즉각적인 피드백
• 진도감

🙋‍♂️ 직무 변경으로 새로운 성장감을 다시 찾을 수 있음.
직무는 바꾸기 쉽지만, 커리어 전체를 바꾸는 이직은 신중히.



8. 문화가 안 맞으면 일도, 연애도 고통이다
• 조직이나 파트너를 고를 때는 감정이 아니라 행동을 기준으로 판단하자.
• ❌ “영원히 사랑할게”
• ✅ “화가 나도 큰소리 내지 않을게”
• 기업도 문화를 제대로 표현해야:
• “9시 1분은 9시가 아니다” vs “유연 출근 OK”

❤️ 니체의 말: “감정은 약속하지 말고, 행동을 약속하라.”



🧾 결론: 루틴은 당신을 몰입으로 이끈다
• 게으른 게 아니다. 시작 단서를 못 찾은 것뿐
• 몰입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. 내 루틴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것
• 자기만의 시간표를 만들어라. 뇌는 당신 편이다.